Bunch of Hanok

profile노근성
thumbnail

상세 내용

꽃은 한 송이로 존재할 때 보다, 그 꽃들을 묶었을 때 더한 의미가 있듯이, 떨어져 있는 한옥을 하나로 엮으면서, 도심형 한옥에서의 가치를 더한다. 그 지역사회에서 인지도가 높은 건축물을 리노베이션 하는 것은 과거를 기억하고, 새로운 시대의 요구를 수용한다. 한옥은 단절된 건축양식이 아니라, 현대 프로그램의 다양한 패턴을 수용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외관의 의장적인 측면보다는 구조와 사용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한옥 다발 : 현대화로 엮은 한옥의 가치’는 도심에서 사용되는 노인복지시설은 기존의 한옥이 어떻게 새로운 시대의 도심에 맞게 변형될 것인가를 말해준다.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매스에 의한 설계는 한옥에서 맞지 않다. 장면에 의한 설계를 통해 건축물내의 장면을, 더 나아가 도시의 장면을 보여주는 건축적 산책로를 구현해 낸다.

 

오늘날 도심에서 새롭게 해석될 한옥의 건축언어

1. 건축물의 일체성(마당) : 기존의 한옥은 마당을 두고 각각의 여러 채가 배열되어 존재한다. 하지만, 노인복지시설에서 각각의 여러 채는 노인들에게 이동의 걸림돌이다. 떨어져 있는 건축물을 하나로 엮음으로 노인 보행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그저 외형적 엮음이 아닌, 시각적인 건축물의 일체성을 위해 툇마루의 시선 끝에는 다른 프로그램을 배치하였다.

2. 실용적 한옥(서까래) : 실제로 리노베이션의 대상인 건축물의 거주인은 지붕기와의 관리를 경제적·지속적 관점에서 불가능하여, 천막으로 덮어 놓았다. 구조의 역할을 하지 않는 서까래를 제거하여, 오늘날 도심에 맞는 한옥 지붕으로 변형한다.

3. 전통 담장의 재해석(담장) : 또한 담장은 더 이상 대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벽이 아니다. 적극적으로 건축물 내부에 도입되어 공간을 나누는 전통 담장의 의미를 재해석한다.

4. 수직적 반(半)외부공간(지붕) : 오늘날 도심은 하나의 건축물 내에서 복합적인 공간이 요구된다. 기존의 한옥에서 외부와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방법은 수평적 확장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 복합적인 공간은 도시의 밀도에 맞게 수직적으로 변형된다.

위치
경산시 삼남동 안부자집
용도
기관&교육
예산
3,070,000,000 원
유형
리모델링
년도
2015 년
공사범위
전체
사용인원
30 명
연면적
1142 m²
© Copyright 2024, dasizip All rights reserved.